- HOME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사용 환경
- Compute
- Server
- Server 개요
- Server 시나리오
- VPC
- Server 사용 준비
- Server 시작
- Server 사용
- Server 접속
- Server 권한 관리
- Server 반납
- 커널 업데이트
- Server 문제 해결
- Server 문제 해결
- KVM Guest Agent 점검(Linux)
- Virtio Win 및 KVM Guest Agent 점검(Windows)
- 서버이미지(OS) 라이프사이클
- 강제정지 및 강제반납
- Server Status Check(VPC)
- Xentools 재설치(Windows)
- Xentools 재설치 (Linux)
- Server 복구
- DNS 설정 점검
- 시간 동기화 설정 점검
- Ncloud Tool Kit 점검 (Linux)
- Ncloud Tool Kit 점검 (Windows)
- 서버 원격 접속 오류 지원 가이드(Linux)
- 서버 원격 접속 오류 지원 가이드(Windows)
- 진단 인터럽트
- fstab 사용
- VPC 서버 접속 환경 구성
- 서버 복구 가이드
- 파일시스템 오류 복구 가이드
- Linux OS Repository 설정 점검
- 패키지 명령어 이슈 점검 (Linux)
- Classic
- Server 활용 툴
-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 Server 릴리스 노트
- Auto Scaling
- Cloud Functions
- Server
- Containers
- Container Registry
- Ncloud Kubernetes Service (VPC)
- Ncloud Kubernetes Service 개요
- Ncloud Kubernetes Service 사용 준비
- Ncloud Kubernetes Service 시작
- Ncloud Kubernetes Service 사용
- Ncloud Kubernetes Service 활용 예제
- Ncloud Kubernetes Service 문제 해결
- Ncloud Kubernetes Service 권한 관리
- Ncloud Kubernetes Service 릴리스 노트
- Storage
- Networking
- VPC
- VPC 개요
- VPC 사용 준비
- VPC 개념
- VPC 시나리오
- VPC 시작
- VPC 사용
- VPC 예제
- VPC 권한 관리
- VPC 리소스 관리
- VPC 용어
- VPC 문제 해결
- VPC 릴리스 노트
- Load Balancer
- IPsec VPN
- Global DNS
- Classic Path
- Global Traffic Manager
- VPC
- Database
- Cloud DB for MySQL
- Cloud DB for Redis
- Cloud DB for MSSQL
- Cloud DB for MongoDB
- Cloud DB for PostgreSQL
- Database Migration Service
- MSSQL
- MySQL
- CUBRID
- Tibero
- eXperDB
- Security
- Secure Zone
- Basic Security
- File Safer
- Web Security Checker
- System Security Checker
- Security Monitoring
- SSL VPN
- Certificate Manager
- Key Management Service
- Webshell Behaivor Detector (VPC)
- Private CA
- Hardware Security Module
- Cloud Security Watcher
- Secure Access
- AI Services
- CLOVA Chatbot
- CLOVA OCR
- CLOVA Studio
- Papago Translation
- Papago Image Translation
- TensorFlow
- AI·NAVER API
- Application Services
- GeoLocation (deprecated)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개요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사용 준비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시나리오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시작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사용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권한 관리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용어
- Simple & Easy Notification Service 릴리스 노트
- API Gateway
- Ncloud Simple RabbitMQ
- Cloud Outbound Mailer
- Big Data & Analytics
- Cloud Hadoop (VPC)
- Cloud Hadoop 개요
- Cloud Hadoop 이용 시나리오
- Cloud Hadoop 사용 준비
- Cloud Hadoop 시작
- Cloud Hadoop 사용
- Cloud Hadoop ecosystem 활용
- Ambari UI
- Ambari REST API 사용
- Apache Livy로 Spark Job 제출
- Custom Alerts 설정
- Hive 사용
- Hive UDF 실행
- Hive External Table로 CSV 파일 연동
- Hive External Table로 json 파일 연동
- Hue 사용
- Impala 사용
- Kudu 사용
- MySQL Stored Procedure로 DB 생성 및 계정 관리
- OpenTSDB 사용
- Presto(Trino) 사용
- Presto(Trino)로 Hive warehouse 데이터 분석
- Ranger Plugin으로 접근제어 설정
- Ranger를 통한 사용자별 HDFS 접근권한 관리
- Spark Scala Job 제출
- Sqoop 사용
- Sqoop + Oozie Workflow를 활용한 MySQL 8.0 마이그레이션
- Zeppelin 사용
- Iceberg 사용
- NiFi 사용
- Cloud Hadoop 연동
- Cloud Hadoop 리소스 관리
- Cloud Hadoop 권한 관리
- Cloud Hadoop 릴리스 노트
- Cloud Hadoop
- Cloud Hadoop 개요
- Cloud Hadoop 이용 시나리오
- Cloud Hadoop 사용 준비
- Cloud Hadoop 시작
- Cloud Hadoop 사용
- Cloud Hadoop ecosystem 사용
- Ambari UI
- Ambari REST API 사용
- Apache Livy로 Spark Job 제출
- Hive 사용
- Hive UDF 실행
- Hive External Table로 CSV 파일 연동
- Hive External Table로 json 파일 연동
- Hue 사용
- MySQL Stored Procedure로 DB 생성 및 계정 관리
- OpenTSDB 사용
- Presto(Trino) 사용
- Presto(Trino)로 Hive Warehouse 데이터 분석
- Spark Scala Job 제출
- Sqoop 사용
- Zeppelin 사용
- Iceberg 사용
- NiFi 사용
- Cloud Hadoop 연동
- Cloud Hadoop 권한 관리
- Cloud Hadoop 릴리스 노트
- Cloud Search
- Search Engine Service
- Search Engine Service 개요
- Search Engine Service 개념
- Search Engine Service 시나리오
- Search Engine Service 사용 준비
- VPC
- Search Engine Service FAQ
- Search Engine Service 용어
- Search Engine Service 릴리스 노트
- Cloud Data Streaming Service
- Cloud Hadoop (VPC)
- Business Applications
- Content Delivery
- Developer Tools
- Hybrid & Private Cloud
- Internet of Things
- Management & Governance
- Cloud Log Analytics
- Sub Account
- Service Quota
- Cost Explorer
-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
- Cloud Activity Tracer
- Resource Manager
- Organization
- Cloud Insight
- Notification Recipient
- Ncloud Single Sign-On
- Media
- VOD Station
- One Click Multi DRM
- Video Player Enhancement
- Video Player Enhancement 개요
- Video Player Enhancement 사용 준비
- Video Player Enhancement 시나리오
- Video Player Enhancement 시작
- Video Player Enhancement 사용
- Video Player Enhancement 예제
- Video Player Enhancement 리소스 관리
- Video Player Enhancement 권한 관리
- Video Player Enhancement 용어
- Video Player Enhancement 문제 해결
- Video Player Enhancement 릴리스 노트
- Tools
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Server Image에서는 생성한 서버 이미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버에 기존 데이터를 빠르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내 서버 이미지 활용 시 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정성이 높은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 기존 서버의 모든 구성 요소와 설정을 저장할 수 있어, 일관성 있는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 서버에 문제 발생 시 내 서버 이미지로 백업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존에 사용하던 서버를 복원하고 빠르게 데이터를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버 장애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서버 이미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사용 가이드를 참고해 주십시오.
내 서버 이미지를 활용하여 서버 생성
내 서버 이미지 기능을 통해 현재 사용 중인 서버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서버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저장한 서버 이미지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내 서버 이미지 생성
현재 운영 중인 서버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erver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서버 목록에서 이미지를 생성할 서버를 클릭하여 선택한 후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내 서버 이미지 생성을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서버 이미지 이름을 입력한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서버 이미지 이름은 중복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내 서버 이미지 생성 팝업 창의 내용을 확인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생성 팝업 창의 내용을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내 서버 이미지가 생성되며, 생성한 내 서버 이미지는 Server Image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버 생성
생성한 서버 이미지를 활용하여 서버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erver Im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서버 이미지 목록에서 내 서버 이미지 생성에서 생성한 서버 이미지를 클릭하여 선택한 후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사용 환경에 따라 서버 생성 가이드의 2. 서버 설정 단계부터 차례대로 진행하여 서버 생성을 완료해 주십시오.
- 서버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 사용 가이드를 참고해 주십시오.
내 서버 이미지를 VPC 환경으로 복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Classic 환경의 내 서버 이미지를 VPC 환경으로 복제하여 Classic 환경에서 사용하던 서버를 그대로 VPC 환경에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VPC 환경으로 복제 시 수도권 리전으로만 가능합니다. 남부권 리전으로 복제를 원하실 경우 수도권으로 복제된 내 서버 이미지에 대해 다른 리전으로 복제 기능을 사용해주세요.
Classic 환경의 내 서버 이미지를 VPC 환경으로 복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erver Im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서버 이미지 목록에서 VPC 환경으로 복제할 서버 이미지를 클릭하여 선택한 후 [VPC 로 복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VPC로 복제 팝업 창에서 서버 이미지 이름을 입력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확인 팝업 창의 내용을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VPC 환경으로 내 서버 이미지가 복제됩니다.
내 서버 이미지를 다른 리전으로 복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현재 이용 중인 리전의 내 서버 이미지를 다른 리전으로 복제하여 사용하던 서버의 환경을 그대로 다른 리전에서 쉽고 빠르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
내 서버 이미지를 다른 리전으로 복제하는 기능은 VPC 환경에서만 제공됩니다.
내 서버 이미지를 다른 리전으로 복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 Services > Compute > Server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Server Image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 서버 이미지 목록에서 다른 리전으로 복제할 서버 이미지를 클릭하여 선택한 후 [다른 리전으로 복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다른 리전으로 복제 팝업 창에서 서버 이미지를 복제할 리전을 선택하고 서버 이미지 이름을 입력한 후 [생성]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선택한 리전으로 내 서버 이미지가 복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