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 Balancer 개요

Prev Next

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Load Balancer 서비스는 수신 트래픽을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키는 서비스입니다. 등록된 멤버 서버로 수신 트래픽을 분산시켜 가용성을 높이고 시스템 가동률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로 인해 워크로드의 가용성을 향상시켜 예기치 못한 서버의 장애 또는 예정된 변경 작업 등에 대하여 중단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Classic 환경에서는 로드밸런서(Load Balancer), VPC 환경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Application Load Balancer), 네트워크 로드밸런서(Network Load Balancer),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Network Proxy Load Balancer), 인라인 로드밸런서(Inline Load Balancer)를 각각 제공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에 적합한 Load Balancer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환경 및 Load Balancer 서비스 유형별로 제공하는 기능이 다릅니다.
VPC 환경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VPC 환경을, Classic 환경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Classic 환경을 참고해 주십시오.

Load Balancer 서비스가 VPC 환경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성능 분산 처리(네트워크 로드밸런서): 대용량 부하 분산 처리에 특화, 고객의 서비스 규모에 따라 자동으로 성능을 조절, 트래픽 분배만 수행하고 고객 서버에서 직접 응답하는 기능(DSR)을 구현
  • TCP 세션 관리(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 TCP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는 Proxy 방식의 통신을 제공
  • SSL 인증 및 암호화 설정(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 TLSv1/TLSv1.1/TLSv1.2 등 SSL 프로토콜을 제공하며, Certificate Manager 서비스와 연동하여 인증서 관리 가능
  • 다양한 서버 부하 분산 방식(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네트워크 프록시 로드밸런서): 3가지 서버 부하 분산 방식 제공
    • Round Robin(순환 순서)
    • Least Connection(최소 연결)
    • Source IP Hash(IP 해시)
  • L7(Application Layer) 기능 제공(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 Load Balancer 서비스에 지원되는 규칙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세분화하여 서버에 전달 가능
  • 3rd Party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구성(인라인 로드밸런서): 네트워크 또는 보안 장비 전문 업체가 제작한 가상 어플라이언스 이미지로 서비스 체인(Service Function Chain)을 구성하는 경우, 전용 로드밸런서로 이중화하여 보안 어플라이언스의 안정성을 보장
  • 로드밸런서 모니터링: 일정 주기별로 수집된 모니터링 정보 제공
  • 로드밸런서 포트 설정: 여러 개 로드밸런서 규칙의 동시 적용 가능

Load Balancer 서비스가 Classic 환경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SSL 인증 및 암호화 설정: Certificate Manager 서비스와 연동하여 Load Balancer 서비스에 인증서 적용 및 인증서 관리 가능
  • 로드밸런서 포트 설정: 여러 개 로드밸런서 규칙의 동시 적용 가능
  • 로드밸런서 모니터링: 일정 주기별로 수집된 모니터링 정보 제공
  • 로드밸런서 관리: 로드밸런서 생성 후 Connection Idle Time(로드밸런서와의 연결 유지 시간) 및 Keep-Alive(기존 연결 재사용) 설정 변경 가능
  • 다양한 서버 부하 분산 방식: 3가지 서버 부하 분산 방식 제공
    • Round Robin(순환 순서)
    • Least Connection(최소 연결)
    • Source IP Hash(IP 해시)

Load Balancer 서비스는 수도권 리전, 남부권 리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리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내용은 동일하며, Load Balancer 서비스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다음 목차와 목차별 내용을 확인해 주십시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Load Balancer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 가이드 외에도 다양한 연관 리소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oad Balancer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고민 중이거나 데이터 관련 정책을 수립하면서 자세한 정보가 필요한 개발자, 마케터 등은 다음 리소스를 적극 활용해 보십시오.

Q. 로드밸런서는 몇 개까지 생성할 수 있습니까?
A. 리전당 최대 50개의 로드밸런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Q. 하나의 로드밸런서에 몇 대의 서버를 바인드할 수 있습니까?
A. 하나의 로드밸런서는 최대 100대의 서버를 바인드할 수 있습니다.

Q. 하나의 로드밸런서에 여러 대의 서버를 적용할 수 있습니까?
A. 하나의 로드밸런서에 여러 Zone에 있는 서버를 모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로드밸런서에 적용된 서버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Q. 서비스용 도메인에 로드밸런서 도메인 이름을 설정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A. 다음 절차에 따라 설정해 주십시오.

  1. 도메인 설정할 로드밸런서를 클릭하여 접속 정보를 확인해 주십시오.
  2. Services > Networking > Global DNS > Record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3. [도메인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도메인을 추가해 주십시오.
  4. [레코드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5. 레코드명을 입력한 후 다음 경우에 따라 레코드 값을 입력해 주십시오.
    • A 레코드로 추가하는 경우, 보유한 서비스 도메인명에 대한 A 레코드로 제공된 로드밸런서 IP를 입력해 주십시오.
    • CNAME 레코드로 추가하는 경우, 보유한 서비스 도메인명에 대한 CNAME 레코드로 제공된 로드밸런서 도메인을 입력해 주십시오.
      • <예시> 고객이 example.com 도메인을 보유한 경우
        networking-loadbalancer-loadbalanceroverview_cname
      • <예시> zone apex(-root domain)에 대한 CNAME은 등록할 수 없습니다.(RFC1033)
        networking-loadbalancer-loadbalanceroverview_cname2
  6.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로드밸런서 DNS 이름에서 조회되는 IP는 스케일 변경과 다중 Zone 사용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제공된 DNS 이름 대신 조회되는 IP를 직접 서비스에 등록해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십시오.
    • 로드밸런서로 제공되는 DNS 이름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DNS 이름으로 등록한 경우에는 서비스에 영향이 없습니다.

Q. User Created 정책을 통해 액션 단위로 권한을 정의하려면 액션 간 연관 관계를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까?
A. 메인 계정이 서브 계정에게 부여할 세부 액션을 선택할 때 연관된 액션들도 자동적으로 선택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