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사용하기 전에
Q.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가 무엇인가요?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는 고객의 웹 서비스를 실제 사용자 환경에서 모니터링하는 서비스입니다.
웹 서비스 URL을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고, 스케줄을 등록하여 반복적인 모니터링을 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등록된 웹 서비스는 5분 주기로 모니터링되며 Javascript, image, CSS 등 웹 페이지 내의 콘텐츠를 확인하고 Load Time을 기록해 성능상의 문제 또한 분석합니다.
수집된 모니터링 결과는 URL별로 상세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간대별 모니터링 결과, 성능 추이, 이벤트 발생 당시의 화면, 감지 로그 등의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경보 설정을 통해 모니터링 등록된 URL에서 오류가 감지되면 SMS나 Email을 통해 알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신청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 접속하여
- Services > Management & Governance >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이용 신청]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서비스 이용 신청 팝업 창에서 알림 내용을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서비스 등록
서비스 이용 신청 후 ‘Web Monitoring’을 통해 모니터링할 서비스 테스트 및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1. 스텝 작성
-
콘솔 좌측에 뜬 Web Monitoring 탭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서비스 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스텝 작성 탭에서 모니터링 유형을 선택해 주십시오. URL 유형은 모니터링 대상 URL만을 등록하는 단일 스텝 만을 등록하며 SCENARIO 유형은 모니터링 대상 URL 등록을 포함한 둘 이상의 스텝을 등록해야 할 경우 선택합니다. URL 유형을 선택했더라도 둘 이상의 스텝을 등록하는 경우 모니터링 유형이 SCENARIO 유형으로 변경됩니다.
-
모니터링 할 웹 서비스의 유형(PC, MOBILE)을 선택해 주십시오.
-
테스트를 진행할 지역을 선택해 주십시오. 측정 에이전트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스텝 작성 화면에서는 하나의 국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른 국가도 함께 선택해 다양한 글로벌 환경에서 모니터링하고 싶다면, 서비스 설정 탭에서 설정합니다.
-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METHOD (GET, POST, PUT, DELETE, HEAD) 선택 및 URL을 입력해 주십시오.
-
옵션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요청 옵션(Header, Body, Cookie)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시작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일정 시간 이후 오브젝트 탐색기가 화면에 출력(테스트 시작 버튼 아래 영역) 됩니다.
-
스텝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스텝 추가는 직접 추가 하는 방법과 [오브젝트 탐색기] 상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등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추가 가능한 스텝은 다음과 같습니다.
- URL 접속: 입력한 URL에 접속
- 대기 시간: 대기 시간 설정
- 마우스 클릭: 대상 검색 후 클릭
- 텍스트 입력: 대상 검색 후 텍스트 입력
- 유효성 검사 (오브젝트 찾기): 페이지에서 오브젝트 검색
- 유효성 검사 (텍스트 찾기): 페이지에서 텍스트 검색
- 팝업 창 이동: 팝업이 생성된 경우 해당 팝업으로 대상을 전환하여 모니터링 가능
-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실행: 사용자가 설정한 Javascript를 실행
-
오브젝트 탐색기상에서 스텝 추가가 가능 합니다. 추가 가능한 스텝은 다음과 같습니다.
- 텍스트 입력: 대상 검색 후 텍스트 입력
- 유효성 검사 (오브젝트 찾기): 페이지에서 오브젝트 검색
- 유효성 검사 (텍스트 찾기): 페이지에서 텍스트 검색
-
오브젝트 탐색기에서 오브젝트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리면 해당 오브젝트가 붉은색 박스로 하이라이트 되며 클릭할 경우 스텝 추가 다이얼로그가 화면에 표시됩니다.
-
스텝 추가 다이얼로그에서 스텝을 추가하려면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테스트 결과 목록에 ERROR인 스텝 결과를 클릭하면 오류 로그 목록에 오류 내용이 출력 됩니다.
-
오류 유형이 URL, JavaScript의 경우 필터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오류 로그를 필터링 처리 할 수 있습니다. 필터링된 로그는 더 이상 오류로 감지 되지 않습니다.
모니터링 대상 URL 로드 시 확인되는 오류 리스트가 출력되며 필터 추가 버튼을 통하여 간단하게 오류로 분류되지 않도록 필터 처리 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버튼을 눌러 서비스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2. 서비스 설정
- 모니터링 실행 주기를 설정해 주십시오.
- 1분, 5분, 10분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최소 하나 이상의 측정 지역을 선택해 주십시오.
- Request timeout 설정 값을 입력해 주십시오.
- 요청 대기 시간(Connection timeout)을 입력합니다.
- 5초, 10초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Run timeout 설정 값을 입력해 주십시오.
- 모니터링 시나리오 전체를 실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 30초, 40초, 50초, 60초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다음]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서비스 등록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3. 서비스 등록
- 서비스 이름을 입력해 주십시오.
- [서비스 등록]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등록 작업이 완료됩니다.
서비스 관리 및 설정
'Web Monitoring' 에서 등록된 서비스의 모니터링 관리 및 설정 변경이 가능합니다.
모니터링 설정
- Web monitoring 메뉴를 클릭하면 대시보드가 출력됩니다.
- 설정 하려는 서비스 우측 상단에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서브메뉴가 출력됩니다.
- 서브 메뉴에서 모니터링 설정 항목을 클릭하면 모니터링 설정 다이얼로그가 출력됩니다.
- 모니터링 ON(시작)/OFF(중지) 여부를 설정해 주십시오.
- 모니터링 실행 주기를 설정해 주십시오.
- 1분, 5분, 10분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Request timeout 값을 설정해 주십시오.
- 요청 대기 시간(Connection timeout)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 5초, 10초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Run timeout 값을 설정해 주십시오.
- 모니터링 시나리오 전체를 실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 합니다.
- 30초, 40초, 50초, 60초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적용] 버튼을 눌러 설정 작업을 완료 합니다.
- Web monitoring 메뉴를 클릭하면 대시보드가 출력됩니다.
- 설정 하려는 서비스 우측 상단에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서브메뉴가 출력됩니다.
- 서브 메뉴에서 지역 설정 항목을 클릭하면 지역 설정 다이얼로그가 출력됩니다.
- 측정 지역을 설정해 주십시오.
- URL을 모니터링할 측정 위치를 국가 단위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한 국가에 위치한 측정 에이전트로 해당 URL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합니다. 중복 선택도 가능합니다.
-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하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필터 설정
알람을 받고 싶지 않은 이벤트가 있다면 해당 이벤트 유형을 알람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필터링할 이벤트를 추가하고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Web monitoring 메뉴를 클릭하면 대시보드가 출력됩니다.
- 설정 하려는 서비스 우측 상단에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서브메뉴가 출력됩니다.
- 서브 메뉴에서 필터 설정 항목을 클릭하면 필터 설정 다이얼로그가 출력됩니다.
- 이벤트의 유형을 선택해 주십시오.
이벤트 유형 | |
---|---|
url | 입력한 로그와 완벽히 일치하는 로그를 필터링하고 싶을 때 |
urlprefix | 입력한 로그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로그를 필터링하고 싶을 때 |
js | 입력한 스크립트와 완벽히 일치하는 스크립트를 필터링하고 싶을 때 |
Jsprefix | 입력한 스크립트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스크립트를 필터링하고 싶을 때 |
- 필터할 이벤트 내용을 입력해 주십시오.
- 이벤트 정보를 입력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해당 이벤트는 더 이상 에러로 감지되지 않습니다.
- 필터 목록에서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수정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되며, 삭제 버튼 클릭 시 필터 목록에서 삭제 됩니다.
- 변경된 설정을 적용하고 설정을 완료하려면 [적용]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알림 설정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에서 서비스 장애를 감지했을 때 알람을 받을 대상을 콘솔에서 설정합니다. 통보 대상을 설정하기 전에 통보 대상 관리를 통해 통보 대상자 정보를 등록해야 합니다.
-
Web monitoring 메뉴를 클릭하면 대시보드가 출력됩니다.
-
설정하고자 하는 서비스 우측 상단에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서브메뉴가 출력됩니다.
-
서브 메뉴에서 알림 설정 항목을 클릭하면 알림 설정 다이얼로그가 출력됩니다.
-
알람 상태 ON/OFF를 설정해 주십시오.
- 에러로 감지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SMS나 Email을 통해 알람을 받으려면 알람 상태를 ON으로 하고, 알람을 받지 않으려면 OFF를 선택합니다.
-
알람 발생 조건을 설정해 주십시오.
- 이벤트 발생 횟수로 알람이 발송되는 기준을 설정합니다.
-
알람 발송 기준을 설정해 주십시오.
- 알람의 발생 빈도를 설정합니다. 1시간에 한 번만 받기로 설정 시 알람 발생 조건이 발생한 후 연속적으로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계속해서 이벤트가 감지되어도 같은 내용의 알람이 1시간 내에 1회 이상 가지 않게 됩니다.
-
SMS/E-MAIL 수신자를 설정해 주십시오.
- 통보 대상 관리를 통해 등록된 통보 대상자 목록을 이름 입력을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를 통해 선택된 통보 대상자 정보는 수신자 목록에 추가됩니다. - 통보 방법은 수신 정보 등록 여부에 따라 선택이 제한됩니다.
- 전화 번호, 이메일 정보가 모두 등록된 사용자의 경우 Email, SMS, SMS + Email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전화 번호만 등록된 사용자의 경우 SMS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이메일만 등록된 사용자의 경우 Email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통보 대상 관리를 통해 등록된 통보 대상자 목록을 이름 입력을 통해 조회할 수 있습니다.
-
통보 대상을 관리해 주십시오.
- 통보 대상 관리 화면에서 통보 대상자를 추가/수정/삭제 할 수 있습니다.
-
SMS/E-MAIL 수신자 목록에서 제거해 주십시오.
-
Webhook 수신 목록을 설정해 주십시오.
- Webhook 관리에서 등록된 Webhook 목록이 출력되며 선택 시 Webhook 수신 목록에 추가됩니다.
-
Webhook 정보를 관리해 주십시오.
- Webhook 관리 화면에서 Webhook 정보를 추가/수정/삭제 할 수 있습니다.
-
설정을 완료하고 저장하려면 [적용]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통보 대상 관리
- 대상자 추가하기
-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에서 서비스 장애를 감지했을 때 알람을 받을 대상자의 정보를 추가해야 합니다. 화면 좌측의 [대상자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대상자 추가 시 휴대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해 당사자가 직접 동의하여야 등록할 수 있습니다.
-
통보 대상 관련 정보 입력하기
- 대상자의 이름 및 이메일 주소를 입력합니다. 이때 입력한 이메일 주소는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에서 이벤트 감지 시 발송되는 알람 메일을 받는 주소가 됩니다.
-
휴대폰 인증
- 대상자의 휴대폰 번호를 입력합니다. 이때 입력한 휴대폰 번호는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에서 이벤트 감지 시 발송되는 SMS를 받는 번호가 됩니다. 번호 입력 후 ‘인증번호 전송’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 휴대폰에 인증번호가 담긴 SMS가 전송됩니다. 전송된 인증 번호를 ‘인증번호 입력’란에 기재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
그룹 선택
- 등록하고자 하는 대상자가 속할 그룹을 선택합니다.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은 [통보 대상 관리 - 그룹 생성]를 참고해주세요.
-
등록 완료
- 모든 정보 입력이 끝나면 [등록] 버튼을 눌러 완료합니다.
Webhook 설정
-
Webhook 추가하기
-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에서 서비스 장애를 감지했을 때 알람을 받을 webhook url을 추가 합니다. 화면 좌측 상단의 [Webhook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Webhook 수정하기
- Webhook 목록에서 이름을 클릭하면 Webhook 수정 화면이 출력되며 등록된 Webhook 정보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Webhook 삭제하기
- 삭제 버튼 클릭 시 즉시 삭제되며, 삭제된 내용은 복원할 수 없습니다.
- Webhook 이름 입력
- Webhook 테스트
- 등록한 Webhook URL에 실제 테스트 메시지(This is a test message from Naver cloud wms)를 전송하고 응답 결과를 표시 합니다.
- Headers 추가
- Webhook 전송 시 필수 Header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추가] 버튼을 클릭한 후 필수 Header를 추가하여 함께 전송할 수 있습니다.
- 설정 내용 저장
- 모든 설정을 마쳤다면, 하단의 [적용] 버튼을 클릭해 저장합니다.
대시보드
대시보드를 통해 등록한 전체 서비스의 현재 상태를 한눈에 살펴 볼 수 있습니다.
-
자동 업데이트
- 대시보드를 최신 데이터로 자동갱신 합니다. 자동 갱신 주기는 1분, 3분, 5분, 10분 중에 선택 할 수 있으며 자동 업데이트를 OFF 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상세 페이지
- 서비스 이름을 클릭하면 서비스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상세 페이지로 전환 됩니다.
-
서비스 지표 확인
- 가용성: (오류 / 정상) * 100
- 오류: 오류 건 수
- 지역: 등록된 측정 위치
- 평균로드: 평균 Page load time
서비스 상세 지표 및 에러 로그 확인
서비스 상세 페이지에서 기간별 서비스 상세 지표 및 에러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 상세 페이지 바로 가기
- 등록된 전체 서비스 목록이 출력되며, 선택 시 해당 서비스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기간 조회
- 데이터 조회 구간을 설정합니다. 범위는 6시간, 12시간, 1일, 1주일, 1개월, 1년 선택 가능하며 date picker에서 시작 일자 혹은 종료 일자 선택 시 선택된 범위에 맞게 시작 일자 혹은 종료 일자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선택됩니다.
- 예를 들어 범위를 1D로 선택하고 시작 일자를 5월 2일로 선택할 경우 종료 일자가 5월 3일로 계산되어 자동 선택됩니다.
- 데이터 조회 구간을 설정합니다. 범위는 6시간, 12시간, 1일, 1주일, 1개월, 1년 선택 가능하며 date picker에서 시작 일자 혹은 종료 일자 선택 시 선택된 범위에 맞게 시작 일자 혹은 종료 일자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선택됩니다.
- 서비스 가용성
- 조회 기간 내 (오류 건 수 / 정상 건수) * 100 으로 계산한 지표
- 차트 확대/되돌리기
- [확대] (좌측) 버튼을 클릭하여 차트를 확대하거나 확대하고자 하는 구간을 드래그하여 차트 확대할 수 있습니다.
- [되돌리기] (우측) 버튼을 클릭하여 확대 이전의 상태로 차트를 되돌릴 수 있습니다.
- 측정 지역
- 측정 지역의 범례가 표시되며, 측정 지역을 클릭하여 차트상에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 오류는 차트상에 붉은색 점으로 표시됩니다.
- 모니터링 결과 조회 필터
- 결과 (SUCCESS, ERROR), 지역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를 필터링하여 볼 수 있습니다.
- 모니터링 결과 상세 페이지 이동
- 결과 목록
- 수집 시간과 상태(SUCCESS, ERROR)가 출력되며 목록 선택 시 해당되는 에러 로그와 스텝 단위의 상세 결과가 출력됩니다.
- Waterfall
- 모니터링 결과 상태가 ERROR일 경우 waterfall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 보기
- 모니터링 결과 상태가 ERROR일 경우 이미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에러가 발생된 오브젝트의 이미지가 조회됩니다.
서비스 이용 해지
-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 접속해 주십시오.
- Services > Management & Governance > Web service Monitoring System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 [상품 이용 중] 버튼을 클릭한 후 이용 해지 항목을 클릭해 주십시오.
- 서비스 이용 해지 확인 팝업 창에서 알림 내용을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해지 완료 팝업 창에서 알림 내용을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