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메인 추가 및 관리

Prev Next

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도메인 추가 및 관리에서는 Global DNS 서비스에 도메인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방법, 등록 기관의 설정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 DNSSEC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도메인 등록 기관에 등록한 도메인명을 Global DNS 서비스에 개별로 추가하거나 제공되는 템플릿을 작성한 후 업로드하여 일괄로 추가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개별로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2. Services > Networking > Global DNS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3. Record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4. 화면 상단의 [도메인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5. 도메인 추가 팝업 창에서 정보를 입력해 주십시오.
    • 이름: 도메인명 입력. 영어, 숫자, 하이픈(-), 와일드카드(*) 사용 가능
      • 하이픈(-)을 마지막 문자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와일드카드(*) 사용 시 다른 문자는 입력할 수 없습니다.
    • DNSSEC 적용: DNS 데이터의 위변조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인 DNSSEC(DNS Security Extensions) 적용 여부 선택
      • DNSSEC를 적용할 경우, 자동으로 추가되는 DS 레코드를 도메인 등록 기관에 등록해야 합니다.
    • 설명: 도메인에 대한 설명 입력
  6.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도메인이 추가되기까지 수 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추가가 완료되면 도메인 목록에 해당 도메인이 표시되고, 원형 상태 아이콘이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변경됩니다.

도메인 및 레코드 정보를 엑셀 파일 형식으로 정리하여 한 번의 업로드로 단일 또는 다수의 도메인을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을 일괄적으로 추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2. Services > Networking > Global DNS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3. Record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4. 화면 상단의 [업로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5. 파일 업로드 팝업 창에서 [업로드 템플릿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템플릿 파일을 다운로드해 주십시오.
  6. 다운로드된 템플릿 파일에 도메인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해 주십시오.
    • 템플릿 항목
      항목 설명
      호스트 추가할 호스트명 입력
      도메인 추가할 도메인명 입력
      • 영문자, 숫자, 하이픈(-), 와일드카드(*) 사용 가능
      • 하이픈(-)은 마지막 문자로 사용 불가
      • 와일드카드(*) 사용 시 다른 문자 입력 불가
      레코드타입 도메인에 추가할 레코드 타입 입력
      • 지원되는 레코드: A, AAAA, CNAME, MX, PTR, SPF, TXT, NS, SRV, CAA, DS
      • 각 레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DNS 레코드 타입 참조
      데이터 레코드 타입에 맞는 데이터 입력
      TTL 레코드 값 갱신 주기(초) 입력
      Alias 사용 여부 Alias(별칭) 사용 여부에 따라 Y 또는 N 입력
      LB 사용 여부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생성한 로드밸런서 연결 여부에 따라 Y 또는 N 입력
      • 로드밸런서로 연결할 경우, 다음 항목 입력 필요
        • 레코드타입: A
        • 데이터: 로드밸런서의 접근 정보
        • Alias 사용 여부: N
      LB Region 로드밸런서가 위치한 지역 코드(KR, KRS) 입력
      • VPC 환경의 로드밸런서로 연결할 경우에만 입력
    참고

    동일한 도메인 정보(호스트, 도메인명)에 대해 서로 다른 레코드 정보를 입력하면, 도메인 추가와 동시에 여러 레코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7. 업로드 팝업 창에서 마우스로 파일을 끌고 오거나 여기를 클릭하세요 영역에 파일을 끌어 넣거나 해당 영역을 클릭해 파일을 선택해 주십시오.
    • 파일이 인식되면 자동으로 유효성 검증이 실행되며, 검증이 완료되기까지 수 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8. 유효성 검증 결과를 확인하여 업로드에 실패한 항목은 삭제한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실패한 항목은 빨간색 음영으로 표시됩니다. 해당 항목에 마우스 오버하면 실패 사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패한 항목을 수정하여 성공한 항목과 함께 업로드하려면 [취소] 버튼을 클릭한 후 적절한 조치 후 다시 업로드해 주십시오.
    • 실패한 항목을 남겨둔 상태로 추가할 경우, 도메인이 정상적으로 추가되지 않습니다.
    • [실패 항목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실패한 항목만을 추린 엑셀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 [실패 항목 모두 삭제] 버튼을 클릭하면 실패한 항목이 전부 삭제됩니다. 실패한 항목을 개별로 삭제하려면 실패한 항목에 표시되는 [삭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도메인 추가 과정이 시작되며, 완료되기까지 수 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9. 팝업 창에 나타나는 도메인 추가 결과를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콘솔에 도메인이 추가되고, 레코드도 바로 적용되어 배포됩니다.

Global DNS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도메인 등록 기관에 설정할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2. Services > Networking > Global DNS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3. Record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4. 도메인 목록에서 정보를 확인할 도메인을 클릭해 주십시오.
  5. 화면 상단의 [등록기관 설정 정보]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6. 등록 기관 설정 정보 팝업 창에서 설정 정보를 확인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DNS 데이터의 위변조 공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인 DNSSEC(DNS Security Extensions)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2. Services > Networking > Global DNS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3. Record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4. 도메인 목록에서 DNSSEC 상태를 변경할 도메인의 i_globaldns_option에 마우스 오버한 후, DNSSEC 상태 변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5. DNSSEC 상태 변경 팝업 창에서 적용 여부를 선택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활성화 시 도메인 목록에서 도메인명 옆에 i_globaldns_dnssec이 표시되며, DS 레코드가 자동으로 추가 및 적용됩니다.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DS 레코드를 도메인 등록 기관의 도메인 설정에 추가해 주십시오.
    • 비활성화 시 i_globaldns_dnssec이 사라지며, DS 레코드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이용하려면, DS 레코드를 도메인 등록 기관의 도메인 설정에서 삭제해 주십시오.

도메인을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
  • 도메인에 SOA 및 NS를 제외한 레코드가 있으면 삭제되지 않습니다. 먼저 레코드를 삭제하고 설정을 적용한 후 도메인을 삭제해 주십시오.
  • Global DNS 서비스에서 도메인을 삭제하더라도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구매 또는 등록한 도메인명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필요한 경우, 도메인 등록 기관에서 도메인명을 삭제해 주십시오.
  1.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의 Region 메뉴와 Platform 메뉴에서 이용 중인 환경을 클릭해 주십시오.
  2. Services > Networking > Global DNS 메뉴를 차례대로 클릭해 주십시오.
  3. Record 메뉴를 클릭해 주십시오.
  4. 도메인 목록에서 삭제할 도메인의 i_globaldns_option에 마우스 오버한 후, 도메인 삭제를 클릭해 주십시오.
  5. 도메인 삭제 팝업 창에서 [삭제]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 도메인이 삭제되어 목록에서 사라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