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e Safer 용어

Prev Next

Classic/VP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File Safer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몇 가지 용어가 있습니다. 용어와 용어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REST 원리를 준수하여 설계한 API

RFC 1321로 지정되어 있는 128비트의 출력값(해시 값)을 생성하는 암호화 해시 함수. 흔히 MD5로 지칭하며 File Safer에서는 MD5를 16진수 32바이트로 표기(예: 9c2f83f1742a29c109ee8f2239ee87d8)

미국의 국가안보국 NSA(National Security Agency)가 전자 서명 알고리즘(DSA)에 적용하기 위해 메시지 다이제스트(MD) 방식으로 고안한 암호 해시 알고리즘. File Safer에서는 SHA-1을 지원하며, 16진수 40바이트로 표기(예: c2f785f44d44b3c2e4b24d1ff4330b683ab0fa7d)

일반 사용자에게 악성 코드를 유포하기 위한 악의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제작된 웹 페이지(또는 스크립트)의 URL

제 3자가 일반 사용자의 의사와 이익에 반해 시스템을 파괴하거나 정보를 유출하는 등 악의적 활동을 수행하도록 의도적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

고객의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파일과 아웃링크의 악성 여부를 검사하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비스

Hash Filter에서 확인이 되지 않은 파일을 업로드하여 악성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기능

해싱 기법을 적용하여 메시지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법

의심되는 파일 또는 URL의 스트링에서 추출한 Hash 값을 이용하여 악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Cryptographic Hash Function(암호화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으로, 흔히 해시값, 해시 코드, 해시 체크섬, 해시로 지칭

참고

더 많은 용어에 대해 알아보려면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포털의 용어 사전을 확인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