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Hadoop 이용 시나리오

Prev Next

Classic 환경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Cloud Hadoop 서비스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콘솔에서 Cloud Hadoop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이용 신청됩니다. 클러스터 노드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및 방화벽 설정, 스토리지 설정도 콘솔에서 진행합니다. 이후 제공되는 서비스별 각 UI에 접속하여 각종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Cloud Hadoop 서비스의 전체 이용 시나리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Cloud Hadoop 생성 관리: 콘솔
  • 서버 이미지와 서버 타입을 선택해 서버 생성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Cloud Hadoop 시작
  1. ACG 설정: 콘솔
  • 네트워크 접근 제어를 위해 ACG 설정 진행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방화벽 설정(ACG)
  1. Cloud Hadoop 사용 및 관리: 콘솔
  • 클러스터 정보 확인
  • 클러스터 관리(노드 수 변경, 관리자 패스워드 초기화, 설정 백업)
  • 서버 접속 관리(클러스터 직접 접속 인증키 변경, 공인 IP 설정 변경, 인증키 관리)
  • 접근할 수 있는 Web UI와 접근 규칙을 확인하고,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여 해당 Web UI 접속
  • 이 단계에 대한 사용 가이드 페이지
  • Cloud Hadoop 정보 확인 및 관리
  1. 클러스터 노드 및 Web UI 접속: PC의 터미널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1. Web UI 사용: PC의 터미널 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1. 외부 연동: PC의 터미널 프로그램, Web UI 및 각 서비스 연동
참고

디렉토리 소유자 및 권한, 커버로스 인증 설정, Hadoop 기본 ACL 설정, 데이터 암호화 등의 보안 configuration은 직접 설정 필요합니다.